제293회 남구의회(임시회)
행정자치위원회회의록
제6호
대구광역시남구의회사무과
일 시 2025년 2월 25일(화)
장 소 제1소회의실
- 의사일정
- 1.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의 건
(09시32분 개의)
○위원장 강병준 동료위원 여러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93회 임시회 제6차 행정자치위원회 개회를 선포합니다.
오늘 본 위원회 안건은 어제 5차 회의에 이어서 2025년 2월 6일 남구의회 의장으로부터 본 위원회로 회부된 『2025년도 업무계획 보고의 건』이 되겠습니다.
동료위원 여러분께서는 의석에 배부해 드린 의사일정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동료위원 여러분께서는 집행기관에서 계획하고 있는 2025년 주요 업무 및 현안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면밀히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효율적인 회의 진행을 위하여 간략하게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업무계획 보고는 대명5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4개 동이 되겠습니다.
회의에 앞서 진행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해당 동장이 업무계획을 일괄 설명하고 의문이나 보충 설명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질의‧답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각 동장께서는 성실한 보고와 답변을 당부드리겠습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93회 임시회 제6차 행정자치위원회 개회를 선포합니다.
오늘 본 위원회 안건은 어제 5차 회의에 이어서 2025년 2월 6일 남구의회 의장으로부터 본 위원회로 회부된 『2025년도 업무계획 보고의 건』이 되겠습니다.
동료위원 여러분께서는 의석에 배부해 드린 의사일정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동료위원 여러분께서는 집행기관에서 계획하고 있는 2025년 주요 업무 및 현안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면밀히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효율적인 회의 진행을 위하여 간략하게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업무계획 보고는 대명5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4개 동이 되겠습니다.
회의에 앞서 진행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해당 동장이 업무계획을 일괄 설명하고 의문이나 보충 설명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질의‧답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각 동장께서는 성실한 보고와 답변을 당부드리겠습니다.
○위원장 강병준 그러면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의 건』을 상정합니다.
의사일정에 따라 먼저 대명5동 소관 업무계획에 대한 보고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오태환 대명5동장께서는 발언대에서 2025년도 동 업무계획을 보고하시기 바랍니다.
의사일정에 따라 먼저 대명5동 소관 업무계획에 대한 보고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오태환 대명5동장께서는 발언대에서 2025년도 동 업무계획을 보고하시기 바랍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안녕하십니까? 대명5동장 오태환입니다.
먼저 우리 구 발전과 주민들의 복리 증진을 위하여 밤낮으로 애쓰고 계시는 강병준 행정자치위원장님, 그리고 이정현 부위원장님, 그리고 강민욱 위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배석한 직원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직원 인사)
보고에 앞서 2024년 업무 실적 중에 정정 사항이 있습니다.
별도 배부한 자료 보면 356페이지 친환경 제품 사용과 358페이지 시정 견문 정보 시스템에서 수치에 약간 오류가 있어서 정정하였습니다.
잘 살피지 못한 점 죄송하며 깊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럼 지금부터 대명5동 2025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는 일반 현황과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 그리고 2025년 업무계획, 신규시책과 협업 과제, 그리고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 순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329쪽 일반 현황입니다.
우리 동 직원 현황은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정원 11명에 현원 11명입니다.
인구 현황은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총 3,420세대에 5,755명이고, 행정 조직은 22개 통에 125개 반입니다.
다음 사회복지 현황을 살펴보면 도표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생계급여가 310세대에 394명, 의료급여가 287세대에 360명, 주거급여가 453세대에 601명, 교육급여가 48세대에 66명이 되겠습니다.
한부모 가족은 40세대 92명이고 노인 인구는 1,435명입니다.
등록 장애 인구는 368명이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 330쪽입니다.
각급 조직단체 현황으로는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하여 13개 단체가 구성 운영 중에 있습니다.
상세 내용은 책자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페이지 331쪽입니다.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입니다.
우리 동은 지하철역과 영대병원 네거리, 앞산 네거리 등 주요 교차로가 위치해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또한 남부경찰서, 영남대학병원 등 공공시설과 대명 생태공원인 배수지 공원이 잘 정비되어 있는 등 생활 정주 여건이 우수한 동입니다.
이러한 입지적 장점을 바탕으로 현재 각종 재건축,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공사 중인 사업장의 전체 입주 시 약 3,500세대 이상의 인구 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대구 대표도서관 개소와 3차 순환선 도로의 개통이 올 가을쯤 있을 예정이어서 영대병원 네거리와 주변 상권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등 향후 몇 년 후면 우리 동이 대구 및 남구의 중심으로 태어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 332쪽입니다.
대명5동 인구 상세 현황과 행정 환경 변화에 대한 대책은 책자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페이지 333쪽입니다.
2025년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전략 목표는 활기차게 살아나는 행복한 으뜸 마을 만들기이며, 정책 목표는 주민 화합의 주민자치센터 운영 외 3건이 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소통하고 참여하는 주민센터 운영 외 3건이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 335쪽입니다.
주요 사업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첫째, 소통하고 참여하는 주민자치센터 운영을 위해 다양한 연령대 및 각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주민자치위원회를 발굴하고 역량 강화를 통해 주민자치위원회 기능을 활성화하여 주민자치위원회가 각 조직단체 간 소통과 화합의 구심점이 되도록 하겠으며, 새로이 아파트에 입주하는 주민과 기존 주택 주민들과의 융화를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한 지역 현안 사업 발굴과 문제 해결에 있어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주민이 행복해지는 주민자치센터가 되도록 수요자 중심의 주민자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주민들에게 보다 더 친근하고 쉼터 같은 공간 조성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336쪽에서 337쪽 상단까지입니다.
둘째, 함께 만드는 희망 복지, 행복한 복지 공동체 구현입니다.
먼저 청장년 1인 가구 및 노인 가구 증가에 따른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고위험 위기 가구 1촌 맺기, 명예 사회복지 공무원 및 일사천리 복지 기동단 등 지역의 인적 안전망을 활용하여 현장 중심의 위기 대응과 위기 가구 발굴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 위기 가구 통합사례관리, 일사천리 플랫폼 및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민과 관이 협력하여 구축해 놓은 각종 복지 서비스를 통해서 살피고 알리고 보살피는 지역 복지 공동체를 조성하겠습니다.
또한 모두가 누리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아동, 청년, 중장년, 노인 대상으로 생애 주기별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긴급 생계 및 의료 지원, 장애인, 기타 돌봄이 필요한 자 등에 대하여 각 대상자별 맞춤형 복지 서비스 등을 지원하여 체감도 높은 다양한 복지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337쪽 하단에서 338쪽까지입니다.
셋째, 늘 푸르고 아름다운 마을 환경 만들기입니다.
먼저 주민들이 마음 편히 살 수 있는 안전한 마을을 만들기 위해 현장 순찰을 강화하여 주민 불편 사항을 신속 해결하고 자율방재단, 지구대 등 관내 기관 단체와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구축하도록 하겠으며, 건축 공사장 주변 혹은 노후 하수도 시설 등에 대한 주기적인 순찰과 재해 예방 장비 상시 점검 및 노후 장비 교체로 주민들이 마음 편히 다닐 수 있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으며, 특히 재건축, 재개발 공사 현장 순찰을 강화하여 주민 불편을 잘 살피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주민과 함께하는 깨끗한 우리 동네를 만들기 위해 우리 집, 우리 가게 앞 내가 청소하기 및 동과 조직단체, 그리고 주민 등이 합동으로 청소하기 등을 적극 실시하여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주변 환경 정비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생활 쓰레기, 재활용품, 음식물 쓰레기 등에 대한 올바른 배출 방법 등의 홍보를 강화하여 제로 웨이스트 마을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339쪽입니다.
넷째, 주민 중심의 맞춤형 행정 서비스 제공입니다.
전입, 출생, 사망 신고 시 원스톱으로 후속 조치 및 연계 서비스를 적극 안내하고, 특히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민원 안내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주민들이 필요로 하고 궁금해하는 수혜 서비스에 대해서는 주민들이 놓치지 않도록 각종 홍보 매체를 통하여 널리 알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주민이 감동하고 신뢰하는 행정 서비스를 위해 직원들의 친절 교육을 수시로 진행하고, 동네 불편 사항 등에 대해서는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처리하는 등 주민과 소통하는 행정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341쪽에서 343쪽입니다.
2025년 신규시책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동 주민센터를 찾는 주민들이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원하는 민원 창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민원실 바닥에 색깔별로 안내 유도선을 표시하는 사업입니다.
2025년 1월 바닥 유도선 디자인 구상 등 계획을 수립하고 2월 초에 동 민원실 바닥에 전입, 등초본, 사회복지 등 민원 창구별로 색깔을 3색으로 구분해서 시공을 완료하였습니다.
별첨 자료 제일 끝에 보시면 시공 전과 시공 후의 모습이 있습니다.
그리고 동 민원실을 찾는 민원인이 입구에 들어서면서 바닥 유도선을 한번 보고 원하는 민원창구 앞에 쉽게 대기하는 모습이 요즘 많이 보였습니다.
소소하지만 민원 편익 증진에 기여하였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페이지 345쪽에서 348쪽입니다.
2025년 협업 과제입니다.
먼저 보조 배터리 수거 서비스입니다.
외부 충격 시 화재 위험성이 높은 보조 배터리를 일반폐기물과 혼합하여 버려지는 사례가 많아 올바른 수거 체계와 분리배출을 유도하여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사업 기간은 연중 상시이며, 장소는 대명5동 주민센터와 관내 협업 기관입니다.
사업 내용은 협업 기관에서 수거한 보조 배터리를 동 주민센터로 인계하고 재활용 업체에서 일괄 수거 후 전지재활용협회에 전달하는 내용입니다.
협업 파트너는 영남대학교 병원, 남부경찰서, 영대병원역 등이 되겠습니다.
두 번째, 협업 과제는 취약 계층 클린 홈 케어 서비스입니다.
주거 생활 환경이 열악한 계층에게 청소, 빨래, 소독 등의 클린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업 기간은 연중이며 사업 내용은 청소, 빨래, 소독 등의 홈 케어 서비스이며, 주요 대상은 관내 독거노인, 장애인 등 스스로 위생 관리가 어려운 취약 계층입니다.
협업 파트너는 대명5동 일사천리 복지 기동단과 주식회사 티에스 글로벌입니다.
다음 페이지 349쪽에서 362쪽입니다.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입니다.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은 책자 내용을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대명5동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먼저 우리 구 발전과 주민들의 복리 증진을 위하여 밤낮으로 애쓰고 계시는 강병준 행정자치위원장님, 그리고 이정현 부위원장님, 그리고 강민욱 위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배석한 직원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직원 인사)
보고에 앞서 2024년 업무 실적 중에 정정 사항이 있습니다.
별도 배부한 자료 보면 356페이지 친환경 제품 사용과 358페이지 시정 견문 정보 시스템에서 수치에 약간 오류가 있어서 정정하였습니다.
잘 살피지 못한 점 죄송하며 깊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럼 지금부터 대명5동 2025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는 일반 현황과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 그리고 2025년 업무계획, 신규시책과 협업 과제, 그리고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 순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329쪽 일반 현황입니다.
우리 동 직원 현황은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정원 11명에 현원 11명입니다.
인구 현황은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총 3,420세대에 5,755명이고, 행정 조직은 22개 통에 125개 반입니다.
다음 사회복지 현황을 살펴보면 도표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생계급여가 310세대에 394명, 의료급여가 287세대에 360명, 주거급여가 453세대에 601명, 교육급여가 48세대에 66명이 되겠습니다.
한부모 가족은 40세대 92명이고 노인 인구는 1,435명입니다.
등록 장애 인구는 368명이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 330쪽입니다.
각급 조직단체 현황으로는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하여 13개 단체가 구성 운영 중에 있습니다.
상세 내용은 책자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페이지 331쪽입니다.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입니다.
우리 동은 지하철역과 영대병원 네거리, 앞산 네거리 등 주요 교차로가 위치해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또한 남부경찰서, 영남대학병원 등 공공시설과 대명 생태공원인 배수지 공원이 잘 정비되어 있는 등 생활 정주 여건이 우수한 동입니다.
이러한 입지적 장점을 바탕으로 현재 각종 재건축,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공사 중인 사업장의 전체 입주 시 약 3,500세대 이상의 인구 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대구 대표도서관 개소와 3차 순환선 도로의 개통이 올 가을쯤 있을 예정이어서 영대병원 네거리와 주변 상권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등 향후 몇 년 후면 우리 동이 대구 및 남구의 중심으로 태어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 332쪽입니다.
대명5동 인구 상세 현황과 행정 환경 변화에 대한 대책은 책자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페이지 333쪽입니다.
2025년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전략 목표는 활기차게 살아나는 행복한 으뜸 마을 만들기이며, 정책 목표는 주민 화합의 주민자치센터 운영 외 3건이 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소통하고 참여하는 주민센터 운영 외 3건이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 335쪽입니다.
주요 사업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첫째, 소통하고 참여하는 주민자치센터 운영을 위해 다양한 연령대 및 각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주민자치위원회를 발굴하고 역량 강화를 통해 주민자치위원회 기능을 활성화하여 주민자치위원회가 각 조직단체 간 소통과 화합의 구심점이 되도록 하겠으며, 새로이 아파트에 입주하는 주민과 기존 주택 주민들과의 융화를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한 지역 현안 사업 발굴과 문제 해결에 있어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주민이 행복해지는 주민자치센터가 되도록 수요자 중심의 주민자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주민들에게 보다 더 친근하고 쉼터 같은 공간 조성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336쪽에서 337쪽 상단까지입니다.
둘째, 함께 만드는 희망 복지, 행복한 복지 공동체 구현입니다.
먼저 청장년 1인 가구 및 노인 가구 증가에 따른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고위험 위기 가구 1촌 맺기, 명예 사회복지 공무원 및 일사천리 복지 기동단 등 지역의 인적 안전망을 활용하여 현장 중심의 위기 대응과 위기 가구 발굴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 위기 가구 통합사례관리, 일사천리 플랫폼 및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민과 관이 협력하여 구축해 놓은 각종 복지 서비스를 통해서 살피고 알리고 보살피는 지역 복지 공동체를 조성하겠습니다.
또한 모두가 누리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아동, 청년, 중장년, 노인 대상으로 생애 주기별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긴급 생계 및 의료 지원, 장애인, 기타 돌봄이 필요한 자 등에 대하여 각 대상자별 맞춤형 복지 서비스 등을 지원하여 체감도 높은 다양한 복지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337쪽 하단에서 338쪽까지입니다.
셋째, 늘 푸르고 아름다운 마을 환경 만들기입니다.
먼저 주민들이 마음 편히 살 수 있는 안전한 마을을 만들기 위해 현장 순찰을 강화하여 주민 불편 사항을 신속 해결하고 자율방재단, 지구대 등 관내 기관 단체와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구축하도록 하겠으며, 건축 공사장 주변 혹은 노후 하수도 시설 등에 대한 주기적인 순찰과 재해 예방 장비 상시 점검 및 노후 장비 교체로 주민들이 마음 편히 다닐 수 있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으며, 특히 재건축, 재개발 공사 현장 순찰을 강화하여 주민 불편을 잘 살피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주민과 함께하는 깨끗한 우리 동네를 만들기 위해 우리 집, 우리 가게 앞 내가 청소하기 및 동과 조직단체, 그리고 주민 등이 합동으로 청소하기 등을 적극 실시하여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주변 환경 정비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생활 쓰레기, 재활용품, 음식물 쓰레기 등에 대한 올바른 배출 방법 등의 홍보를 강화하여 제로 웨이스트 마을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339쪽입니다.
넷째, 주민 중심의 맞춤형 행정 서비스 제공입니다.
전입, 출생, 사망 신고 시 원스톱으로 후속 조치 및 연계 서비스를 적극 안내하고, 특히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민원 안내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주민들이 필요로 하고 궁금해하는 수혜 서비스에 대해서는 주민들이 놓치지 않도록 각종 홍보 매체를 통하여 널리 알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주민이 감동하고 신뢰하는 행정 서비스를 위해 직원들의 친절 교육을 수시로 진행하고, 동네 불편 사항 등에 대해서는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처리하는 등 주민과 소통하는 행정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341쪽에서 343쪽입니다.
2025년 신규시책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동 주민센터를 찾는 주민들이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원하는 민원 창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민원실 바닥에 색깔별로 안내 유도선을 표시하는 사업입니다.
2025년 1월 바닥 유도선 디자인 구상 등 계획을 수립하고 2월 초에 동 민원실 바닥에 전입, 등초본, 사회복지 등 민원 창구별로 색깔을 3색으로 구분해서 시공을 완료하였습니다.
별첨 자료 제일 끝에 보시면 시공 전과 시공 후의 모습이 있습니다.
그리고 동 민원실을 찾는 민원인이 입구에 들어서면서 바닥 유도선을 한번 보고 원하는 민원창구 앞에 쉽게 대기하는 모습이 요즘 많이 보였습니다.
소소하지만 민원 편익 증진에 기여하였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페이지 345쪽에서 348쪽입니다.
2025년 협업 과제입니다.
먼저 보조 배터리 수거 서비스입니다.
외부 충격 시 화재 위험성이 높은 보조 배터리를 일반폐기물과 혼합하여 버려지는 사례가 많아 올바른 수거 체계와 분리배출을 유도하여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사업 기간은 연중 상시이며, 장소는 대명5동 주민센터와 관내 협업 기관입니다.
사업 내용은 협업 기관에서 수거한 보조 배터리를 동 주민센터로 인계하고 재활용 업체에서 일괄 수거 후 전지재활용협회에 전달하는 내용입니다.
협업 파트너는 영남대학교 병원, 남부경찰서, 영대병원역 등이 되겠습니다.
두 번째, 협업 과제는 취약 계층 클린 홈 케어 서비스입니다.
주거 생활 환경이 열악한 계층에게 청소, 빨래, 소독 등의 클린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업 기간은 연중이며 사업 내용은 청소, 빨래, 소독 등의 홈 케어 서비스이며, 주요 대상은 관내 독거노인, 장애인 등 스스로 위생 관리가 어려운 취약 계층입니다.
협업 파트너는 대명5동 일사천리 복지 기동단과 주식회사 티에스 글로벌입니다.
다음 페이지 349쪽에서 362쪽입니다.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입니다.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은 책자 내용을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대명5동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별책)
○위원장 강병준 대명5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자리에 앉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대명5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5동장께서는 앉은 좌석에서 동료 위원의 질의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정현 위원님 먼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리에 앉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대명5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5동장께서는 앉은 좌석에서 동료 위원의 질의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정현 위원님 먼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복지팀장 박수현 저 1월 1일 자로 왔습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진급하셔서 오신 거예요?
○복지팀장 박수현 예, 1월 1일자로 발령 받아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이정현 위원 여러 의미로 축하드립니다.
○복지팀장 박수현 감사합니다.
○이정현 위원 동장님 설명해 주실 때 여기 동에 들어오는 1차, 2차 이것만 예상해서 3,500세대가 아니고 전체 다 보광까지 해서 3,500세대 말씀해 주신 거죠?
다 들어온 다음에 3,500세대.
다 들어온 다음에 3,500세대.
○대명5동장 오태환 그렇지요.
현재 공사 중인 업체 다 하면 3,500세대 됩니다.
현재 공사 중인 업체 다 하면 3,500세대 됩니다.
○이정현 위원 지금 보광 쪽 안 하고 있잖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보광 1차는 일단 공사를 하다가 현재 중단된 상태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정현 위원 2차도 철거도 아직 안 한 상황이잖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철거는 건물 한 두세 개 정도만 남겨놓고 다 했습니다.
○이정현 위원 알겠습니다.
한 2년 정도 내에 인구가 굉장히 많이 바뀌잖아요.
그래서 그 인구 변화 추이를 쭉 가져가면 좋겠는데 그걸 쭉 하려면 담당하시는 분 한 명 정도가 있으면 좋겠더라고요.
제가 동별로 쭉 보고 있으니까 지금 이천동이나 대명5동 같은 경우, 대명2동도 좀 비슷한데 이게 확 바뀌는 시점에서 추이를 낼 수 있는 걸 좀 가져가야 되는데 의회도 2년마다 좀 바뀌는 경향이 있고 동도 직원분들 2년마다 거의 다 바뀌잖아요.
그래서 자료 정리가 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거 한번 고민을 해봐야 될 건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어렵네요.
작년 신규시책 했던 것 중에서 새로 오시는 분들 있으니까 관내 안내 제작도 해 주신 것 있잖아요.
한 2년 정도 내에 인구가 굉장히 많이 바뀌잖아요.
그래서 그 인구 변화 추이를 쭉 가져가면 좋겠는데 그걸 쭉 하려면 담당하시는 분 한 명 정도가 있으면 좋겠더라고요.
제가 동별로 쭉 보고 있으니까 지금 이천동이나 대명5동 같은 경우, 대명2동도 좀 비슷한데 이게 확 바뀌는 시점에서 추이를 낼 수 있는 걸 좀 가져가야 되는데 의회도 2년마다 좀 바뀌는 경향이 있고 동도 직원분들 2년마다 거의 다 바뀌잖아요.
그래서 자료 정리가 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거 한번 고민을 해봐야 될 건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어렵네요.
작년 신규시책 했던 것 중에서 새로 오시는 분들 있으니까 관내 안내 제작도 해 주신 것 있잖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대명5동장 오태환 민원도 그렇지만 신규로 오신 분들 중심으로 해서 책자를 많이 배부했습니다.
○이정현 위원 전입자로 신고하러 오셨을 때.
○대명5동장 오태환 예, 그때 주고 그렇습니다.
○이정현 위원 이게 동장님들마다 신규시책에 대한 방향성이 조금씩 다른데 좋은 시책이 있으면 좀 나누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저도 이번에 부동산 계약하면서 전자 계약을 했는데 전자 계약하게 되면 동에 안 가게 되잖아요.
확정일자도 동에 안 가도 자동으로 받게 되잖아요.
저도 이번에 부동산 계약하면서 전자 계약을 했는데 전자 계약하게 되면 동에 안 가게 되잖아요.
확정일자도 동에 안 가도 자동으로 받게 되잖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대명5동장 오태환 안내도 책자 만들어서 전입 신고할 때도 주고 일부는 통장님들 편에 전달…….
○이정현 위원 그런데 전자로 신고했을 때는 못 받을 수 있으니 다른 동에서는 이런 경우에 전자로 신고하신 분들은 문자 메시지로 이걸 보내더라고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이정현 위원 그런 거 한번, 여기 동에 어쨌든 계속적으로 들어오고 있으니까, 전입이 더 올 예정이잖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대명5동장 오태환 내년 26년 2월.
○이정현 위원 내년인가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이정현 위원 내년에 나올 거고, 지금 건너편에 있는 거는 올해 6월, 그렇죠?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올해 6월입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적극 참고하겠습니다.
○이정현 위원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소소하지만 중요한 것들 있잖아요.
그런 거 위주로 하면 좋지 않을까.
앞에서 다른 동에도 말씀드렸는데 동장님 동에 좀 오래 계셨잖아요.
팀장 하실 때도 동에 좀 계셨고, 그렇죠?
대명5동에 계속 계셨잖아요.
그런 거 위주로 하면 좋지 않을까.
앞에서 다른 동에도 말씀드렸는데 동장님 동에 좀 오래 계셨잖아요.
팀장 하실 때도 동에 좀 계셨고, 그렇죠?
대명5동에 계속 계셨잖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이정현 위원 아마 내년까지는 그래도 동에 계실 것 같아서, 동장님 타 동에 새로 오신 동장님들하고 두 가지 저랑 함께 만들어 보시죠.
이 업무계획 보고서 개편 좀 해야 될 것 같아요.
우리 예산서하고 행정사무감사는 어느 정도 정리가 됐는데, 이거 제가 몇 번 말씀드렸거든요.
올해 이거 업무계획 보고할 때도 우리 전문위원님하고 몇 번을 말씀드렸는데, 필요 없는 부분 좀 빼고 설명하고 필요 없는 부분 내용은 좀 줄이고 우리 의회에서 들어야 될 걸 좀 집중적으로 넣어보자 했는데 그게 좀 안 돼요.
동장님이 좀 책임지시고 대명4동 동장님하고 4동, 5동이 같이 하면 좋겠네요.
이 업무계획 보고서 개편 좀 해야 될 것 같아요.
우리 예산서하고 행정사무감사는 어느 정도 정리가 됐는데, 이거 제가 몇 번 말씀드렸거든요.
올해 이거 업무계획 보고할 때도 우리 전문위원님하고 몇 번을 말씀드렸는데, 필요 없는 부분 좀 빼고 설명하고 필요 없는 부분 내용은 좀 줄이고 우리 의회에서 들어야 될 걸 좀 집중적으로 넣어보자 했는데 그게 좀 안 돼요.
동장님이 좀 책임지시고 대명4동 동장님하고 4동, 5동이 같이 하면 좋겠네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이정현 위원 예를 들면 국가 사무로 하고 있는 복지 업무는, 여기 복지팀장님 오셨겠지만 복지팀장님, 사실 지금 지방의회에 보고할 거 없잖아요?
그렇지 않습니까?
거의 대부분 국가 사무 법령으로 내려온 거 하잖아요.
뭐 해봐야 사각지대 정도, 복지 발굴 정도 외에는 다 하고 있는데 우리 의회에서 굳이 알아야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까?
거의 대부분 국가 사무 법령으로 내려온 거 하잖아요.
뭐 해봐야 사각지대 정도, 복지 발굴 정도 외에는 다 하고 있는데 우리 의회에서 굳이 알아야 될까요?
○복지팀장 박수현 예, 짧지만 있어 보니 말씀하신 대로 국가 사무가 대부분이고 동별 약간 특색 있게 한다고 하는 거는 지사협 특화 사업이라든지 아니면 동별 고독사 관련해서 그 정도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정현 위원 그렇죠?
긴급 생계라든가 이런 것 외에는 거의 대부분은 국가 사무니까, 국가 사무 의회에서 하지 말라고 한다고 안 할 수 있습니까?
반대로 의회에서 더 하라고 한다고 해서 더 하실 거예요?
아니잖아요, 그렇죠?
그런 건 좀 줄여서 내용 축약해서 동별로 똑같이 가는 거니까 줄이고요.
반대로 신규시책이라든가 혹은 시책 사업, 이 동에서 특이한 점, 이 동의 새로운 점, 주민들이 더 많이 전입 올 거다, 혹은 다른 동은 재개발해서 갑자기 빠져나갈 거다, 이런 것들 위주로 보고해 주시는 게 더 좋을 것 같지 않겠습니까?
그게 동장님들도 편할 거잖아요.
긴급 생계라든가 이런 것 외에는 거의 대부분은 국가 사무니까, 국가 사무 의회에서 하지 말라고 한다고 안 할 수 있습니까?
반대로 의회에서 더 하라고 한다고 해서 더 하실 거예요?
아니잖아요, 그렇죠?
그런 건 좀 줄여서 내용 축약해서 동별로 똑같이 가는 거니까 줄이고요.
반대로 신규시책이라든가 혹은 시책 사업, 이 동에서 특이한 점, 이 동의 새로운 점, 주민들이 더 많이 전입 올 거다, 혹은 다른 동은 재개발해서 갑자기 빠져나갈 거다, 이런 것들 위주로 보고해 주시는 게 더 좋을 것 같지 않겠습니까?
그게 동장님들도 편할 거잖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맞습니다.
○이정현 위원 똑같은 이야기들, 복지 사업 열심히 하겠습니다, 이런 이야기해 보셔야 서로 힘든데 그거랑요.
두 번째가 이 자료를 주셨으니까 말씀드릴게요.
여우골 예술마을 축제하실 거잖아요.
두 번째가 이 자료를 주셨으니까 말씀드릴게요.
여우골 예술마을 축제하실 거잖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이정현 위원 여우골 예술마을 축제는 제가 볼 때 우리 동 축제 중에서 가장 잘 되는 행사 중에 하나라고 생각되거든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맞습니다.
○이정현 위원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죠.
일단은 축제 사업할 때 가장 중요한 게 두 가지인데 광장이 있는 것과 그다음에 사업할 수 있는 감독 팀이 있는 게 제일 중요한데 두 개 다 있는 데는 이 동이 유일하다고 보거든요.
물론 뭐 대명2동도 광장에 있는 편이고 이천동도 광장이 있지만 그걸 사업성으로 올리기는 쉽지 않은데 여기는 계속 꾸준히 같이 하시는 팀이 있는 거잖아요, 그렇죠?
일단은 축제 사업할 때 가장 중요한 게 두 가지인데 광장이 있는 것과 그다음에 사업할 수 있는 감독 팀이 있는 게 제일 중요한데 두 개 다 있는 데는 이 동이 유일하다고 보거든요.
물론 뭐 대명2동도 광장에 있는 편이고 이천동도 광장이 있지만 그걸 사업성으로 올리기는 쉽지 않은데 여기는 계속 꾸준히 같이 하시는 팀이 있는 거잖아요, 그렇죠?
○대명5동장 오태환 예, 맞습니다.
○이정현 위원 저는 예산을 올리는 게 맞다고 보거든요.
제가 그때 예산 때도 말씀드렸잖아요.
이거 이 예산으로 되겠냐 하고 말씀드린 건데.
그래서 올해는 대명4동 동장님하고 같이, 대명4동 통장님이 이것도 같이 올려달라고 했으니.
작년에 제가 말씀드렸었죠.
제가 누구한테 말씀드렸었는데 동별 예산 축제 좀 다 보시라고 했는데 혹시 보셨어요?
제가 그때 예산 때도 말씀드렸잖아요.
이거 이 예산으로 되겠냐 하고 말씀드린 건데.
그래서 올해는 대명4동 동장님하고 같이, 대명4동 통장님이 이것도 같이 올려달라고 했으니.
작년에 제가 말씀드렸었죠.
제가 누구한테 말씀드렸었는데 동별 예산 축제 좀 다 보시라고 했는데 혹시 보셨어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봤습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예, 그건 맞습니다.
○이정현 위원 그 평가를 동장님이 책임지고 해 주시면 좋겠네요.
○대명5동장 오태환 예, 그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정현 위원 너무 힘든 이야기인가요?
힘듭니다.
저도 힘드네요.
제가 이런 이야기를 동만 해도 13개고 과만 하면 뭐 20개가 넘는 데다가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서 저도 누구한테 이야기했는지도 기억이 잘 안 나서 정리가 돼야 하거든요.
그런데 그런 것들을 정리해 놔야 다음엔 조금 나아지지 않겠습니까?
힘듭니다.
저도 힘드네요.
제가 이런 이야기를 동만 해도 13개고 과만 하면 뭐 20개가 넘는 데다가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서 저도 누구한테 이야기했는지도 기억이 잘 안 나서 정리가 돼야 하거든요.
그런데 그런 것들을 정리해 놔야 다음엔 조금 나아지지 않겠습니까?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이정현 위원 그래서 그거 2개 정도 부탁드리면서 나머지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위원장 강병준 강민욱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강민욱 위원 예, 동장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
몇 가지만 좀 여쭤보겠습니다.
여기 동에 보조 배터리 수거 서비스는 여기만 하고 있는 거죠?
타 동에서도 하나요?
여기만 신규시책으로 하고 있는 거 아닌가요?
몇 가지만 좀 여쭤보겠습니다.
여기 동에 보조 배터리 수거 서비스는 여기만 하고 있는 거죠?
타 동에서도 하나요?
여기만 신규시책으로 하고 있는 거 아닌가요?
○대명5동장 오태환 현재 우리 동만 일단 한번 하는 걸로.
○강민욱 위원 그렇죠? 굉장히 좋네요.
일반적으로 복지관이나 혹은 뭐 타 행사에서 기념품 같은 것들로 보조 배터리 다 받아서, 못해도 이미 5년 전부터 뿌리기 시작했는데 그 5년 동안 안 쓰고 일반 쓰레기에 버려진 것들만 해도 얼마나 많겠습니까?
굉장히 좋은 것 같습니다.
이거 잘 정리해서 1년 동안 운영해 보고 얼마만큼 들어오는지 이런 것들도 데이터화 잘 시켜서 괜찮으면 타 동과 구청에도 알려서 좀 확대했으면 좋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복지관이나 혹은 뭐 타 행사에서 기념품 같은 것들로 보조 배터리 다 받아서, 못해도 이미 5년 전부터 뿌리기 시작했는데 그 5년 동안 안 쓰고 일반 쓰레기에 버려진 것들만 해도 얼마나 많겠습니까?
굉장히 좋은 것 같습니다.
이거 잘 정리해서 1년 동안 운영해 보고 얼마만큼 들어오는지 이런 것들도 데이터화 잘 시켜서 괜찮으면 타 동과 구청에도 알려서 좀 확대했으면 좋겠습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예, 그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사전 신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전 신청하고 또 긴급하게 연락이 들어오면 우리가 가서 해 줍니다.
일사천리 복지 기동단하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같은 그런 단체를 통해서 관내에 이런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분이 있다 하면 우리가 찾아가서 하고, 뭐가 필요한지 파악해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전 신청하고 또 긴급하게 연락이 들어오면 우리가 가서 해 줍니다.
일사천리 복지 기동단하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같은 그런 단체를 통해서 관내에 이런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분이 있다 하면 우리가 찾아가서 하고, 뭐가 필요한지 파악해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강민욱 위원 이것도 좋네요.
그런데 예산이 너무 적어서, 이거 괜찮아요.
지금 남구 자활에서도 이것과 비슷한 사업을 이미 하고 있잖아요.
이미 하고 있는 상태인데 거기서도 자체 사업들로 돌아가니까 그 정도 예산으로 운영을 하는 거거든요.
이불 빨래를 대신 해준다거나 이런 형태로 하고 있는데, 예산은 이 정도로 괜찮아요?
그런데 예산이 너무 적어서, 이거 괜찮아요.
지금 남구 자활에서도 이것과 비슷한 사업을 이미 하고 있잖아요.
이미 하고 있는 상태인데 거기서도 자체 사업들로 돌아가니까 그 정도 예산으로 운영을 하는 거거든요.
이불 빨래를 대신 해준다거나 이런 형태로 하고 있는데, 예산은 이 정도로 괜찮아요?
○대명5동장 오태환 세탁 서비스 같은 경우에는 티에스 글로벌이라고 옛날에 이분이 제가 알기로는 영대병원 원장 하면서 복지하고 기부 차원에서 무료로 세탁을 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방역이나 청소는 우리 관내에 새마을이라든지 바르게 이런 단체를 활용해서 한 번씩 하고, 그다음에 전등이나 방충망 같은 소규모 수리 같은 경우에는 예산을 좀 들여서 그런 식으로 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방역이나 청소는 우리 관내에 새마을이라든지 바르게 이런 단체를 활용해서 한 번씩 하고, 그다음에 전등이나 방충망 같은 소규모 수리 같은 경우에는 예산을 좀 들여서 그런 식으로 할 계획입니다.
○강민욱 위원 좋네요.
알겠습니다.
이게 아까 비율에서도 위에 나오긴 하는데 저는 좀 놀랐던 게 20대부터 30대가 이렇게 많을 줄은 몰랐습니다.
새롭게 현대 힐스테이트 다 들어온 것도 아닌데도 이 정도 비율을 갖고 있는 건 굉장히 특이한 동인 것 같긴 해요.
대명6동도 약간 이런 형태를 띠고 있는데 대명5동도 굉장히 특이한 구조를 띠고 있네요.
그분들은 어차피 인터넷으로 다 행정 서비스를 받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거라고 보는데 오히려 좀 더 고민이 많네요.
여기에서 더 재미있는 거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더 서비스를 줄 수 있을 것 같은데 라는 생각이 드는데 고민이 좀 많네요.
여기서 뭘 할 수 있을지도 좀 고민이 되네요.
어쨌든 대명5동에서 지금 신규 사업하는 것들은 굉장히 괜찮은 것 같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
잘 마무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알겠습니다.
이게 아까 비율에서도 위에 나오긴 하는데 저는 좀 놀랐던 게 20대부터 30대가 이렇게 많을 줄은 몰랐습니다.
새롭게 현대 힐스테이트 다 들어온 것도 아닌데도 이 정도 비율을 갖고 있는 건 굉장히 특이한 동인 것 같긴 해요.
대명6동도 약간 이런 형태를 띠고 있는데 대명5동도 굉장히 특이한 구조를 띠고 있네요.
그분들은 어차피 인터넷으로 다 행정 서비스를 받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거라고 보는데 오히려 좀 더 고민이 많네요.
여기에서 더 재미있는 거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더 서비스를 줄 수 있을 것 같은데 라는 생각이 드는데 고민이 좀 많네요.
여기서 뭘 할 수 있을지도 좀 고민이 되네요.
어쨌든 대명5동에서 지금 신규 사업하는 것들은 굉장히 괜찮은 것 같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
잘 마무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예, 잘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강병준 제가 질의 하나 하겠습니다.
343페이지 보시면 민원 안내 바닥 유도선 표시라고 돼 있는데요.
이 사업은 어디 견학 가셔서 벤치마킹하신 겁니까?
아니면 따로 생각하신 겁니까?
343페이지 보시면 민원 안내 바닥 유도선 표시라고 돼 있는데요.
이 사업은 어디 견학 가셔서 벤치마킹하신 겁니까?
아니면 따로 생각하신 겁니까?
○대명5동장 오태환 고속도로나 그런 데 보면 차량 유도선이 있어서 그게 교통사고 예방에 도움이 많이 됐다고 해서 우리도 이렇게 한번 해보자 해서 만들어 봤습니다.
전입, 제증명, 그다음에 사회복지 이런 식으로 세 가지로 구분해서 바닥에 한번 시공해 봤습니다.
전입, 제증명, 그다음에 사회복지 이런 식으로 세 가지로 구분해서 바닥에 한번 시공해 봤습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이거 별도 배부한 사진에 보시면 시공 전의 모습하고 시공 후 바닥의 모습을 찍어 놓은 겁니다.
이거 현재 업무계획 책자에 있는 건 시공 후의 사진입니다.
이거 현재 업무계획 책자에 있는 건 시공 후의 사진입니다.
○위원장 강병준 이게 글자가 다른데요?
○대명5동장 오태환 아니, 각도가 달라서 그렇지 똑같습니다.
○위원장 강병준 각도가 달라서?
○대명5동장 오태환 예, 녹색, 청색, 분홍색 세 가지입니다.
○대명5동장 오태환 그렇죠, 맞습니다.
우리 동 구조상 딱 들어오면 바로 입구 쪽에서 사람들이 헤매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만들어 놨습니다.
우리 동 구조상 딱 들어오면 바로 입구 쪽에서 사람들이 헤매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만들어 놨습니다.
○위원장 강병준 저는 이게 되게 직관적이고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동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다 나이가 많은 고령자거나 취약 계층이 많으신데 사실 글자를 읽는 것보다 이렇게 해 놓은 게 좋은 것 같습니다.
잘하신 것 같아서 말씀을 드립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대명5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종결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명5동 행정복지센터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질의‧답변을 잘 들었습니다.
2025년 업무계획과 신규시책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동료위원 여러분!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좋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오태환 대명5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돌아가셔도 되겠습니다.
동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다 나이가 많은 고령자거나 취약 계층이 많으신데 사실 글자를 읽는 것보다 이렇게 해 놓은 게 좋은 것 같습니다.
잘하신 것 같아서 말씀을 드립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대명5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종결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명5동 행정복지센터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질의‧답변을 잘 들었습니다.
2025년 업무계획과 신규시책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동료위원 여러분!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좋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오태환 대명5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돌아가셔도 되겠습니다.
(09시59분 회의중지)
(10시05분 계속개의)
○위원장 강병준 동료위원 여러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대명1동 소관 업무계획에 대한 보고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조경진 대명1동장께서는 발언대에서 2025년도 동 업무계획을 보고하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대명1동 소관 업무계획에 대한 보고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조경진 대명1동장께서는 발언대에서 2025년도 동 업무계획을 보고하시기 바랍니다.
○대명1동장 조경진 안녕하십니까? 대명1동장 조경진입니다.
평소 존경하는 강병준 위원장님과 이정현 위원님, 강민욱 위원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신임 동장으로서 앞으로 위원님들과 많이 소통하면서 살기 좋은 대명1동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많은 지도와 격려 부탁드리겠습니다.
지금부터 2025년도 대명1동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 순서는 일반 현황,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 2025년 업무계획, 신규시책,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 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79쪽 정․현원입니다.
정원 12명에 현원 12명으로 정․현원 일치하고 있습니다.
인구 현황입니다.
우리 대명1동은 5,363세대 9,690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남구에서 일곱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동입니다.
19개 통 115반입니다.
사회복지 현황입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생계 884명, 의료 815, 주거 1,279, 교육 165명으로 모두 3,143명입니다.
인구를 대비해서는 32.4%입니다.
전년도 대비해서 2.7%가 증가했습니다.
가정 위탁 2명, 한부모 231명, 장애 등록 652명, 노인 인구는 2,669명입니다.
인구 대비해서 27.5%를 차지하고 있어서 전년 대비 2.2%가 증가했습니다.
180쪽 단체 현황입니다.
주민자치위원회 등 13개 조직단체에서 314명의 회원들이 활동을 하고 계십니다.
모든 회원님들이 우리 동을 위해서 열심히 노력해 주고 계십니다.
181쪽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입니다.
지역 내 고령화율이 27.5%입니다.
독거세대나 어르신 세대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관심과 맞춤형 복지 서비스 제공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남구 평생학습관과 대명 어울림 도서관이 우리 관내에 있습니다.
주민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또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리 대명1동은 지리적으로 지하철 1호선 안지랑역과 인접해 있습니다.
그리고 대로변에 위치해서 접근성이 용이합니다.
원룸 등 다가구 주택 밀집 지역으로 고독사와 복지 사각지대 발생 우려가 높습니다.
그래서 취약 계층 발굴과 또 지역사회 안전망을 강화해서 고독사 사전 예방에 앞장서겠습니다.
현재 매월 안부 전화를 월 1회 하고 있는데 얼마 전부터 월 2회로 횟수를 증가해서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음 183쪽 2025년 업무계획입니다.
주민이 만족하는 행복 마을 조성이라는 전략 목표 아래 4개의 정책 목표와 4개의 주요 사업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185쪽 첫 번째 정책 목표입니다.
주민과 소통하고 참여하는 주민자치 실현입니다.
1-1 소통과 참여를 통한 주민자치 역량 강화입니다.
주민자치위원을 모집할 때 공개 모집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민자치 아카데미와 연수대회 등을 통해서 주민자치위원 역량 강화에 힘쓰겠습니다.
또한 주민자치 공모 사업이나 주민참여예산 운영으로 지역 현안 해결을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습니다.
참고로 올해 주민자치 공모 사업은 다문화 가족 김장 나누기 행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올해 총 3개 사업에 2,600만원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1-2 주민 중심의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총 14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민자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고요.
경연대회, 전시회 등을 지원하겠습니다.
프로그램 홍보 활동으로 주민 중심 프로그램 운영에 힘쓰겠습니다.
우리 대명1동에서는 일어, 영어, 국학기공 등 타 동과 차별화되는 프로그램을 많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주민의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발굴과 운영에 힘쓰도록 하겠습니다.
186쪽 2. 주민이 공감하고 만족하는 행정 서비스 구현입니다.
2-1 주민이 만족하는 행정 서비스 실천입니다.
민원을 접수할 때 그 절차나 서비스를 철저하게 안내해서 특히 노인이나 장애인 등 취약 계층에서 행정 서비스를 좀 더 강화해 가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우리 민원실에서는 폭염과 한파 쉼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직원 친절 응대 교육을 철저하게 실시하고 주민 만족 행정을 펼쳐 가겠습니다.
2-2 적극적인 현장 행정 서비스 실천입니다.
민원이 발생하면 적극적으로 바로 현장으로 달려가서 현장 행정을 실시하고 또 조직단체나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주민 불편 사항을 해결하고 예방하겠습니다.
187쪽 3. 함께 나누고 품어주는 복지마을 만들기입니다.
3-1 찾아가는 맞춤형 종합 복지행정입니다.
통합 사례 관리를 통해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 위기 가구를 사전에 발굴하고 연계 지원을 통해서 촘촘한 사회 복지망을 구축하겠습니다.
3-2 민관 협력 활성화로 복지 사각지대 발굴입니다.
민간사회안전망, 복지통장, 일사천리, 복지 기동단 등과 연계해서 어려운 이웃의 불편 사항을 해소하겠습니다.
그리고 라이온스 등 후원 단체 등과 연계해서 이웃 나눔을 실천하겠습니다.
2024년 후원 실적이 대명1동이 약 8,000여만원이 됩니다.
그래서 남구에서 제일 후원이 많았습니다.
특히 작년 7월에 개소한 일동이네 희망 나눔 곳간은 만족도가 높아서 올해도 새로운 방식으로 방식을 조금 바꿔서 계속 운영하고자 합니다.
격월로 매월 셋째 주 수요일 날 운영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단체별로 집중적으로 이번 달에는 어느 단체, 이렇게 집중적으로 운영을 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품목도 수요자 중심으로 꼭 필요한, 그분들이 필요한 품목을 위주로 해서 그렇게 후원할 예정입니다.
188쪽 4. 누구나 살고 싶은 안전하고 쾌적한 마을 만들기입니다.
4-1 주민과 함께하는 깨끗한 마을 만들기입니다.
조직단체와 주민이 함께 마을 정화 활동을 실천하겠습니다.
그리고 쓰레기 배출 감량과 자원 재활용으로 생활 환경을 개선하겠습니다.
4-2 안전하고 살기 좋은 마을 환경 조성입니다.
시정 견문과 재난․재해 대응 네트워크 구축으로 안전한 마을 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참고로 2024년 우리 대명1동이 시정 견문 정보 보고제 평가에서 상반기 최우수상, 하반기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189쪽 2025년 신규시책입니다.
총 3개의 시책으로 첫 번째 191쪽입니다.
‘어서 와, 대명1동은 처음이지’ 안내문 제작입니다.
관내 전입신고를 하시는 분과 또 내방하시는 민원인에게 생활 정보와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문을 제작해서 배포할 예정입니다.
주민의 생활 편의 증진과 안전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올해 이 안내문은 조금 색다르게 가독성 높게 그냥 단순한 안내문, 그냥 보고 치우는 안내문이 아니라 조금 더 실질적으로 제작을 하도록 연구하고 있습니다.
192쪽 두 번째, 누구나 안심하고 방문하는 행정복지센터 환경 조성입니다.
행정복지센터 북쪽 출입문 계단이 조금 가파르기도 하고 안전에 조금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 거기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고 미끄럼 방지 패드를 계단에 설치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주민 안전성을 강화하겠습니다.
총 200만원의 예산인데 다음 주에 바로 신속 집행도 있고 해서 또 주민 편의와 더불어서 바로 발주를 해서 3월 초에 아마 완성이 될 예정입니다.
193쪽 세 번째, 착한 나눔 LED 전광판 운영입니다.
저희 행정복지센터 입구에 LED 전광판이 있습니다.
여기에 기부하신 분들 이름을 공개해서 이 기부자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또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하겠습니다.
월 한 30분 정도가 후원을 해 주시고 계시는데요.
이분들을 익월에 전광판에 띄워줄 예정입니다.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은 책자로 갈음하겠습니다.
대명1동 전 직원은 한마음 한뜻으로 노력해서 금년도에 계획한 사업들이 주민들과 함께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평소 존경하는 강병준 위원장님과 이정현 위원님, 강민욱 위원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신임 동장으로서 앞으로 위원님들과 많이 소통하면서 살기 좋은 대명1동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많은 지도와 격려 부탁드리겠습니다.
지금부터 2025년도 대명1동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 순서는 일반 현황,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 2025년 업무계획, 신규시책,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 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79쪽 정․현원입니다.
정원 12명에 현원 12명으로 정․현원 일치하고 있습니다.
인구 현황입니다.
우리 대명1동은 5,363세대 9,690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남구에서 일곱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동입니다.
19개 통 115반입니다.
사회복지 현황입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생계 884명, 의료 815, 주거 1,279, 교육 165명으로 모두 3,143명입니다.
인구를 대비해서는 32.4%입니다.
전년도 대비해서 2.7%가 증가했습니다.
가정 위탁 2명, 한부모 231명, 장애 등록 652명, 노인 인구는 2,669명입니다.
인구 대비해서 27.5%를 차지하고 있어서 전년 대비 2.2%가 증가했습니다.
180쪽 단체 현황입니다.
주민자치위원회 등 13개 조직단체에서 314명의 회원들이 활동을 하고 계십니다.
모든 회원님들이 우리 동을 위해서 열심히 노력해 주고 계십니다.
181쪽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입니다.
지역 내 고령화율이 27.5%입니다.
독거세대나 어르신 세대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관심과 맞춤형 복지 서비스 제공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남구 평생학습관과 대명 어울림 도서관이 우리 관내에 있습니다.
주민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또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리 대명1동은 지리적으로 지하철 1호선 안지랑역과 인접해 있습니다.
그리고 대로변에 위치해서 접근성이 용이합니다.
원룸 등 다가구 주택 밀집 지역으로 고독사와 복지 사각지대 발생 우려가 높습니다.
그래서 취약 계층 발굴과 또 지역사회 안전망을 강화해서 고독사 사전 예방에 앞장서겠습니다.
현재 매월 안부 전화를 월 1회 하고 있는데 얼마 전부터 월 2회로 횟수를 증가해서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음 183쪽 2025년 업무계획입니다.
주민이 만족하는 행복 마을 조성이라는 전략 목표 아래 4개의 정책 목표와 4개의 주요 사업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185쪽 첫 번째 정책 목표입니다.
주민과 소통하고 참여하는 주민자치 실현입니다.
1-1 소통과 참여를 통한 주민자치 역량 강화입니다.
주민자치위원을 모집할 때 공개 모집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민자치 아카데미와 연수대회 등을 통해서 주민자치위원 역량 강화에 힘쓰겠습니다.
또한 주민자치 공모 사업이나 주민참여예산 운영으로 지역 현안 해결을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습니다.
참고로 올해 주민자치 공모 사업은 다문화 가족 김장 나누기 행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올해 총 3개 사업에 2,600만원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1-2 주민 중심의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총 14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민자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고요.
경연대회, 전시회 등을 지원하겠습니다.
프로그램 홍보 활동으로 주민 중심 프로그램 운영에 힘쓰겠습니다.
우리 대명1동에서는 일어, 영어, 국학기공 등 타 동과 차별화되는 프로그램을 많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주민의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발굴과 운영에 힘쓰도록 하겠습니다.
186쪽 2. 주민이 공감하고 만족하는 행정 서비스 구현입니다.
2-1 주민이 만족하는 행정 서비스 실천입니다.
민원을 접수할 때 그 절차나 서비스를 철저하게 안내해서 특히 노인이나 장애인 등 취약 계층에서 행정 서비스를 좀 더 강화해 가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우리 민원실에서는 폭염과 한파 쉼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직원 친절 응대 교육을 철저하게 실시하고 주민 만족 행정을 펼쳐 가겠습니다.
2-2 적극적인 현장 행정 서비스 실천입니다.
민원이 발생하면 적극적으로 바로 현장으로 달려가서 현장 행정을 실시하고 또 조직단체나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주민 불편 사항을 해결하고 예방하겠습니다.
187쪽 3. 함께 나누고 품어주는 복지마을 만들기입니다.
3-1 찾아가는 맞춤형 종합 복지행정입니다.
통합 사례 관리를 통해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 위기 가구를 사전에 발굴하고 연계 지원을 통해서 촘촘한 사회 복지망을 구축하겠습니다.
3-2 민관 협력 활성화로 복지 사각지대 발굴입니다.
민간사회안전망, 복지통장, 일사천리, 복지 기동단 등과 연계해서 어려운 이웃의 불편 사항을 해소하겠습니다.
그리고 라이온스 등 후원 단체 등과 연계해서 이웃 나눔을 실천하겠습니다.
2024년 후원 실적이 대명1동이 약 8,000여만원이 됩니다.
그래서 남구에서 제일 후원이 많았습니다.
특히 작년 7월에 개소한 일동이네 희망 나눔 곳간은 만족도가 높아서 올해도 새로운 방식으로 방식을 조금 바꿔서 계속 운영하고자 합니다.
격월로 매월 셋째 주 수요일 날 운영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단체별로 집중적으로 이번 달에는 어느 단체, 이렇게 집중적으로 운영을 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품목도 수요자 중심으로 꼭 필요한, 그분들이 필요한 품목을 위주로 해서 그렇게 후원할 예정입니다.
188쪽 4. 누구나 살고 싶은 안전하고 쾌적한 마을 만들기입니다.
4-1 주민과 함께하는 깨끗한 마을 만들기입니다.
조직단체와 주민이 함께 마을 정화 활동을 실천하겠습니다.
그리고 쓰레기 배출 감량과 자원 재활용으로 생활 환경을 개선하겠습니다.
4-2 안전하고 살기 좋은 마을 환경 조성입니다.
시정 견문과 재난․재해 대응 네트워크 구축으로 안전한 마을 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참고로 2024년 우리 대명1동이 시정 견문 정보 보고제 평가에서 상반기 최우수상, 하반기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189쪽 2025년 신규시책입니다.
총 3개의 시책으로 첫 번째 191쪽입니다.
‘어서 와, 대명1동은 처음이지’ 안내문 제작입니다.
관내 전입신고를 하시는 분과 또 내방하시는 민원인에게 생활 정보와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문을 제작해서 배포할 예정입니다.
주민의 생활 편의 증진과 안전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올해 이 안내문은 조금 색다르게 가독성 높게 그냥 단순한 안내문, 그냥 보고 치우는 안내문이 아니라 조금 더 실질적으로 제작을 하도록 연구하고 있습니다.
192쪽 두 번째, 누구나 안심하고 방문하는 행정복지센터 환경 조성입니다.
행정복지센터 북쪽 출입문 계단이 조금 가파르기도 하고 안전에 조금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 거기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고 미끄럼 방지 패드를 계단에 설치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주민 안전성을 강화하겠습니다.
총 200만원의 예산인데 다음 주에 바로 신속 집행도 있고 해서 또 주민 편의와 더불어서 바로 발주를 해서 3월 초에 아마 완성이 될 예정입니다.
193쪽 세 번째, 착한 나눔 LED 전광판 운영입니다.
저희 행정복지센터 입구에 LED 전광판이 있습니다.
여기에 기부하신 분들 이름을 공개해서 이 기부자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또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하겠습니다.
월 한 30분 정도가 후원을 해 주시고 계시는데요.
이분들을 익월에 전광판에 띄워줄 예정입니다.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은 책자로 갈음하겠습니다.
대명1동 전 직원은 한마음 한뜻으로 노력해서 금년도에 계획한 사업들이 주민들과 함께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별책)
○위원장 강병준 대명1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자리에 앉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대명1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1동장께서는 앉은 좌석에서 동료 위원의 질의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정현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리에 앉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대명1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1동장께서는 앉은 좌석에서 동료 위원의 질의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정현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대명1동장 조경진 저 1월 1일자로 발령받아서 교육 갔다가 저번 주에 왔습니다.
○이정현 위원 진급하시면서 동으로 바로 가신 거예요?
○대명1동장 조경진 예.
○이정현 위원 축하드립니다.
○대명1동장 조경진 예, 감사합니다.
○대명1동장 조경진 예, 대명3동입니다.
○이정현 위원 그러면 잘하시겠네요.
걱정 안 해도 되지 않겠습니까?
대명1동에 저희 지역구 의원이 없거든요.
그래서 대명1동의 특이 사항 중에 혹시 여기 뭐 재개발이라든가 특별히 인구가 들어올 게 있습니까?
걱정 안 해도 되지 않겠습니까?
대명1동에 저희 지역구 의원이 없거든요.
그래서 대명1동의 특이 사항 중에 혹시 여기 뭐 재개발이라든가 특별히 인구가 들어올 게 있습니까?
○대명1동장 조경진 지금 재개발, 재건축 현황을 보시면 세종 맨션에 가로주택 정비 사업을 실시하고 있고, 또 앵두마을 재건축 두 군데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LH 세종 맨션은 조합원이 한 98명 정도가 되거든요.
그래서 크게 세대가 많지 않고, 또 앵두 마을은 한 336세대가 정도가 됩니다.
그런데 세종 맨션은 시공사 문제가 있어서 4월 중에 재선정을 하는 단계에 와 있고, 앵두 마을은 정비구역 변경을 협의 중인데 이 두 군데가 완성이 되면 인구 유입이 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LH 세종 맨션은 조합원이 한 98명 정도가 되거든요.
그래서 크게 세대가 많지 않고, 또 앵두 마을은 한 336세대가 정도가 됩니다.
그런데 세종 맨션은 시공사 문제가 있어서 4월 중에 재선정을 하는 단계에 와 있고, 앵두 마을은 정비구역 변경을 협의 중인데 이 두 군데가 완성이 되면 인구 유입이 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정현 위원 한 5년은 걸리겠네요.
○대명1동장 조경진 예, 시간이 조금 걸린다고 봐야지요.
○이정현 위원 그러면 당장은 인구 유입이 없는 거라고 봐야겠네요.
○대명1동장 조경진 당장 자연 인구 유입은 없을 것 같습니다.
○이정현 위원 알겠습니다.
재밌는 거는 시책 사업 중에서 특별히 인구 유입이 없는 동들은 안내문 제작을 되게 잘하시고 있고, 인구 유입이 있는 동들은 이 안내문 제작을 안 하고 있고, 갑자기 그게 생각나서 말씀드렸습니다.
재밌는 거는 시책 사업 중에서 특별히 인구 유입이 없는 동들은 안내문 제작을 되게 잘하시고 있고, 인구 유입이 있는 동들은 이 안내문 제작을 안 하고 있고, 갑자기 그게 생각나서 말씀드렸습니다.
○대명1동장 조경진 말씀드리면 작년 2024년에 한 976건 정도 전입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이분들이 전입 신고하시면서 생활 쓰레기 배출이라든가 이런 것들에 대한 안내 요구가 좀 많으셔서 올해 특수시책으로 이걸 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분들이 전입 신고하시면서 생활 쓰레기 배출이라든가 이런 것들에 대한 안내 요구가 좀 많으셔서 올해 특수시책으로 이걸 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하게 됐습니다.
○대명1동장 조경진 예, 감사합니다.
○위원장 강병준 더 질의하실 위원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대명1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종결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명1동 행정복지센터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질의‧답변을 잘 들었습니다.
2025년 업무계획과 신규시책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동료위원 여러분!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좋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조경진 대명1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돌아가셔도 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대명1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종결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명1동 행정복지센터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질의‧답변을 잘 들었습니다.
2025년 업무계획과 신규시책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동료위원 여러분!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좋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조경진 대명1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돌아가셔도 되겠습니다.
(10시21분 회의중지)
(10시23분 계속개의)
○위원장 강병준 동료위원 여러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대명2동 소관 업무계획에 대한 보고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김윤규 대명2동장께서는 발언대에서 2025년도 동 업무계획을 보고하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대명2동 소관 업무계획에 대한 보고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김윤규 대명2동장께서는 발언대에서 2025년도 동 업무계획을 보고하시기 바랍니다.
○대명2동장 김윤규 안녕하십니까? 대명2동장 김윤규입니다.
평소 남구 구민의 복리 증진을 위하여 소통과 감동의 의정 활동을 열정적으로 펼치시는 강병준 행정자치위원장님, 이정현 부위원장님, 강민욱 위원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배석한 직원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직원 인사)
그럼 지금부터 2025년도 대명2동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업무계획 213쪽입니다.
보고는 일반 현황,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 2025년도 업무계획, 신규시책 및 협업 과제, 2024년도 주요 업무 추진 실적 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215쪽 일반 현황입니다.
직원 현황은 정원 12명에 현원 12명으로 정원 대비 7급이 1명 부족하고 9급이 1명 많은 상태입니다.
인구 현황은 7,146세대에 1만1,766명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654명 많습니다.
행정 조직은 30개 통에 184개 반이 있습니다.
사회복지 현황을 살펴보면 표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생계급여가 607세대 727명, 의료급여가 524세대 632명, 주거급여가 905세대 1,183명, 교육급여가 77세대 94명이며 한부모 가족은 70세대 160명으로 부자 가정이 55세대 126명, 모자 가정은 15세대 34명입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652명으로 전체 인구의 2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등록 인구는 701명이며 그중 지체장애인이 242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16쪽 각급 단체 현황입니다.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하여 13개 단체가 활동 중에 있습니다.
단체별 현황은 책자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17쪽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입니다.
1,758세대 규모의 명덕지구 재개발 정비 사업이 완료되면 인구가 많이 유입되어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청장년층의 인구 증가로 인구 대비 노인 비율이 감소되어 지역이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만 관내 경북 여자상업고등학교의 이전으로 유동 인구 감소로 인한 물베기 거리 상권이 일부 위축되고 있으며, 명덕지구 재개발 사업 완료가 다가옴에 따라 인근에 위치한 낙후된 영선시장을 현대화 사업으로 재단장하여 입주민을 유입할 수 있는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대명2동은 1인 가구 세대가 전 세대의 61%에 달하는 만큼 1인 세대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맞춤형 복지 연계 사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회안전망 구축, 복지 위기 가구 돌봄 체계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은 2025년 업무계획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19쪽 대명2동의 업무 목표는 삶을 나누는 소통과 배려의 마을 공동체 실현입니다.
정책 목표는 일상에 힘이 되는 주민 참여 공동체 조성, 맞춤 복지로 주민의 복지 체감도 향상, 안전하고 오염 없이 쾌적한 생활 환경 추구, 주민의 행복 지수를 높이는 행정 서비스 제공으로 적극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1. 소통과 공감으로 발전하는 주민자치, 2. 두텁고 세밀하고 섬세한 지원으로 약자 복지 구현, 3. 안전하고 청결한 ‘걱정 없대2’ 우리 마을 만들기, 4. 주민의 눈높이에서 맞춤 실천하는 행정 서비스 추진이 되겠습니다.
세부 추진 내용은 221쪽부터 224쪽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2025 신규시책 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27쪽입니다.
‘환영한데이(대2)’ 생활정보 나눔 문자 발송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타 지역에서 대명2동으로 전입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관내 편의시설, 쓰레기 배출 방법 등 새집살이에 필요한 생활 정보들을 문자 메시지로 발송하여 시각적인 정보 제공을 통한 주민 편의성을 추구하는 사업으로 민원인에게 먼저 다가가는 눈 맞춤 행정으로 2월부터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28쪽 ‘혼자 톡톡!’ 고령층 대상 키오스크 사용법 교육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사용되는 키오스크가 고령자에게는 불편한 기계로 인식되는 현상을 인식하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노년층 등 관내 주민을 대상으로 키오스크 사용 방법 교육을 실시하는 사업으로 하반기에 실시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231쪽 협업 과제로 호국 보훈의 달 보훈 단체 위안 행사 개최입니다.
대명2동 관내에는 상이군경회, 6.25 참전 유공자회, 월남전 참전자회 등 총 3개 보훈 단체가 있습니다.
2023년 처음으로 지역 보훈 단체 회원분을 모시고 위문하는 행사를 시범적으로 개최하였는데 보훈 단체 회원들과 봉사에 참여한 단체 회원들 모두 만족하고 호응이 좋아 올해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협업단체로는 대명2동 새마을협의회․부녀회로 행정복지센터 별관에서 보훈 단체 회원 50여 분을 모시고 식사 대접과 문화 공연 관람 등으로 위안 행사를 추진하여 보훈 단체 회원들의 애국정신을 다시 한번 더 기리고자 합니다.
다음은 2024 주요 업무 추진 실적으로 235쪽에서 253쪽까지는 책자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명2동은 작년에 주민자치센터 운영 평가에서 최우수, 친절 마일리지 평가에서 최우수, 협업 포인트제 운영 평가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 전 직원의 노력, 그리고 이 자리에 계신 위원님들의 협조와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한번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상으로 대명2동 2025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평소 남구 구민의 복리 증진을 위하여 소통과 감동의 의정 활동을 열정적으로 펼치시는 강병준 행정자치위원장님, 이정현 부위원장님, 강민욱 위원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배석한 직원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직원 인사)
그럼 지금부터 2025년도 대명2동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업무계획 213쪽입니다.
보고는 일반 현황,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 2025년도 업무계획, 신규시책 및 협업 과제, 2024년도 주요 업무 추진 실적 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215쪽 일반 현황입니다.
직원 현황은 정원 12명에 현원 12명으로 정원 대비 7급이 1명 부족하고 9급이 1명 많은 상태입니다.
인구 현황은 7,146세대에 1만1,766명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654명 많습니다.
행정 조직은 30개 통에 184개 반이 있습니다.
사회복지 현황을 살펴보면 표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생계급여가 607세대 727명, 의료급여가 524세대 632명, 주거급여가 905세대 1,183명, 교육급여가 77세대 94명이며 한부모 가족은 70세대 160명으로 부자 가정이 55세대 126명, 모자 가정은 15세대 34명입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652명으로 전체 인구의 2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등록 인구는 701명이며 그중 지체장애인이 242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16쪽 각급 단체 현황입니다.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하여 13개 단체가 활동 중에 있습니다.
단체별 현황은 책자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17쪽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입니다.
1,758세대 규모의 명덕지구 재개발 정비 사업이 완료되면 인구가 많이 유입되어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청장년층의 인구 증가로 인구 대비 노인 비율이 감소되어 지역이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만 관내 경북 여자상업고등학교의 이전으로 유동 인구 감소로 인한 물베기 거리 상권이 일부 위축되고 있으며, 명덕지구 재개발 사업 완료가 다가옴에 따라 인근에 위치한 낙후된 영선시장을 현대화 사업으로 재단장하여 입주민을 유입할 수 있는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대명2동은 1인 가구 세대가 전 세대의 61%에 달하는 만큼 1인 세대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맞춤형 복지 연계 사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회안전망 구축, 복지 위기 가구 돌봄 체계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은 2025년 업무계획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19쪽 대명2동의 업무 목표는 삶을 나누는 소통과 배려의 마을 공동체 실현입니다.
정책 목표는 일상에 힘이 되는 주민 참여 공동체 조성, 맞춤 복지로 주민의 복지 체감도 향상, 안전하고 오염 없이 쾌적한 생활 환경 추구, 주민의 행복 지수를 높이는 행정 서비스 제공으로 적극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1. 소통과 공감으로 발전하는 주민자치, 2. 두텁고 세밀하고 섬세한 지원으로 약자 복지 구현, 3. 안전하고 청결한 ‘걱정 없대2’ 우리 마을 만들기, 4. 주민의 눈높이에서 맞춤 실천하는 행정 서비스 추진이 되겠습니다.
세부 추진 내용은 221쪽부터 224쪽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2025 신규시책 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27쪽입니다.
‘환영한데이(대2)’ 생활정보 나눔 문자 발송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타 지역에서 대명2동으로 전입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관내 편의시설, 쓰레기 배출 방법 등 새집살이에 필요한 생활 정보들을 문자 메시지로 발송하여 시각적인 정보 제공을 통한 주민 편의성을 추구하는 사업으로 민원인에게 먼저 다가가는 눈 맞춤 행정으로 2월부터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28쪽 ‘혼자 톡톡!’ 고령층 대상 키오스크 사용법 교육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사용되는 키오스크가 고령자에게는 불편한 기계로 인식되는 현상을 인식하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노년층 등 관내 주민을 대상으로 키오스크 사용 방법 교육을 실시하는 사업으로 하반기에 실시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231쪽 협업 과제로 호국 보훈의 달 보훈 단체 위안 행사 개최입니다.
대명2동 관내에는 상이군경회, 6.25 참전 유공자회, 월남전 참전자회 등 총 3개 보훈 단체가 있습니다.
2023년 처음으로 지역 보훈 단체 회원분을 모시고 위문하는 행사를 시범적으로 개최하였는데 보훈 단체 회원들과 봉사에 참여한 단체 회원들 모두 만족하고 호응이 좋아 올해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협업단체로는 대명2동 새마을협의회․부녀회로 행정복지센터 별관에서 보훈 단체 회원 50여 분을 모시고 식사 대접과 문화 공연 관람 등으로 위안 행사를 추진하여 보훈 단체 회원들의 애국정신을 다시 한번 더 기리고자 합니다.
다음은 2024 주요 업무 추진 실적으로 235쪽에서 253쪽까지는 책자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명2동은 작년에 주민자치센터 운영 평가에서 최우수, 친절 마일리지 평가에서 최우수, 협업 포인트제 운영 평가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 전 직원의 노력, 그리고 이 자리에 계신 위원님들의 협조와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한번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상으로 대명2동 2025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별책)
○위원장 강병준 대명2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자리에 앉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대명2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2동장께서는 앉은 좌석에서 동료 위원의 질의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정현 위원님 먼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리에 앉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대명2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2동장께서는 앉은 좌석에서 동료 위원의 질의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정현 위원님 먼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대명2동장 김윤규 대명2동에는 작년 7월에 왔습니다.
○이정현 위원 그전에는 어디 계셨었죠?
○대명2동장 김윤규 봉덕2동에 있었습니다.
○이정현 위원 봉덕2동 계시다가 대명2동으로 오신 거예요?
○대명2동장 김윤규 예.
○행정팀장 장연주 저는 2024년 1월에 대명2동에 왔습니다.
○복지팀장 장경희 저는 올해 1월 1일자로 생활보장과에서 대명2동으로 발령받았습니다.
○이정현 위원 원래 복지직이시고요?
○복지팀장 장경희 예, 맞습니다.
○이정현 위원 알겠습니다.
전체 동을 이야기하기 힘들긴 하지만 대명2동이 적어도 제가 있는 지역구 6개 동에서 가장 특이한 지역이거든요.
동장님이 좀 알아두셔야 됩니다.
그러니까 거기에 종합복지관이 있지만 그 안에 같이 온마을 아이맘 센터가 있죠?
그리고 교대가 있고 예술고가 있고 음악하는 연습실들이 많죠.
그런데 특이하게 1인 가구도 많습니다.
물론 대학생들도 있겠지만, 그리고 경북여상이 있었다가 나가게 됐죠.
청소년 블루존이라고 불리는데 거기가 물베기 거리라고도 불립니다.
물베기 상인들이 있고, 그 상인들이 골목형상가 상인회를 만들고 지금 또 골목형상가 그거 지원받기 위해서 하고 있죠, 그렇죠?
전체 동을 이야기하기 힘들긴 하지만 대명2동이 적어도 제가 있는 지역구 6개 동에서 가장 특이한 지역이거든요.
동장님이 좀 알아두셔야 됩니다.
그러니까 거기에 종합복지관이 있지만 그 안에 같이 온마을 아이맘 센터가 있죠?
그리고 교대가 있고 예술고가 있고 음악하는 연습실들이 많죠.
그런데 특이하게 1인 가구도 많습니다.
물론 대학생들도 있겠지만, 그리고 경북여상이 있었다가 나가게 됐죠.
청소년 블루존이라고 불리는데 거기가 물베기 거리라고도 불립니다.
물베기 상인들이 있고, 그 상인들이 골목형상가 상인회를 만들고 지금 또 골목형상가 그거 지원받기 위해서 하고 있죠, 그렇죠?
○대명2동장 김윤규 예.
○대명2동장 김윤규 예.
○이정현 위원 되게 복잡하잖아요.
그 복잡한 와중에 행정 환경 분석 전망이 노인 복지 소외계층 발굴 이거밖에 안 나올 수가 있을까요?
아까 설명해 주신 거 왜 안 적으셨을까요?
경북여상이 빠져나가는 것에 대한 대처를 어떻게 할 것인가, 청소년 블루존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그 복잡한 와중에 행정 환경 분석 전망이 노인 복지 소외계층 발굴 이거밖에 안 나올 수가 있을까요?
아까 설명해 주신 거 왜 안 적으셨을까요?
경북여상이 빠져나가는 것에 대한 대처를 어떻게 할 것인가, 청소년 블루존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대명2동장 김윤규 경북여상이 빠져나가지만 내년 1월에 재개발 끝나고 명덕 이편한세상이 들어오면 좀 낫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정현 위원 그러니까 제 말씀은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보다 이 자료를, 제가 앞 동에 다른 데도 말씀드렸지만 불필요한 사실들, 국가 사무로 하는 것들은 줄여서 축약해 주셔도 돼요.
책자로 갈음해도 되는데 적어도 대명2동 정도면 이런 내용들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있다는 내용이 있어야 되지 않았을까 싶거든요.
신규시책 사업도 제가 조금 애매한 게 키오스크 사업이야 동마다 하고 있다 치는데, 혹시 안에 따로 보훈 단체 사무실이 하나 있습니까?
책자로 갈음해도 되는데 적어도 대명2동 정도면 이런 내용들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있다는 내용이 있어야 되지 않았을까 싶거든요.
신규시책 사업도 제가 조금 애매한 게 키오스크 사업이야 동마다 하고 있다 치는데, 혹시 안에 따로 보훈 단체 사무실이 하나 있습니까?
○대명2동장 김윤규 사무실이 있습니다.
○이정현 위원 그러면 보훈 단체 사무실까지도 있으면 대명2동 정말 특이한 동이겠네요, 그렇죠?
○대명2동장 김윤규 여기가 더블 역세권이 되다 보니까 1인 가구도 많고…….
○이정현 위원 그런 여러 가지에 대한 방향성이 있으면 좋을 것 같은데.
보훈 단체 해야죠.
보훈 단체 행사가 있으면 하는 거 맞죠.
거기 또 2. 28 그 단체도 있다가 이제 옆으로 갔나요?
보훈 단체 해야죠.
보훈 단체 행사가 있으면 하는 거 맞죠.
거기 또 2. 28 그 단체도 있다가 이제 옆으로 갔나요?
○대명2동장 김윤규 그건 중구 쪽에 있습니다.
○이정현 위원 중구로 건너갔죠?
건너갔긴 했지만 그전에는 거기에 있었던 거잖아요.
그러니까 여러 가지 생각을 담아 주셔야 될 것 같은데, 그런 생각들이 다 안 담긴 것 같아서요.
이 환경 분석 전망을 제가 제일 중요하게 본다고 몇 번 말씀드렸었거든요.
분석을 좀 잘 해보셔야 되지 않을까요?
동에 동장님으로 계셨으니까 봉덕2동하고는 좀 많이 다르죠.
봉덕2동은 앞산과 신천이라는 특수 케이스를 가지고 이야기를 하잖아요.
여기는 완전 다르게 여기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관계에 대해서 말씀을 많이 하셔야 될 것 같은데요.
고민을 좀 해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건너갔긴 했지만 그전에는 거기에 있었던 거잖아요.
그러니까 여러 가지 생각을 담아 주셔야 될 것 같은데, 그런 생각들이 다 안 담긴 것 같아서요.
이 환경 분석 전망을 제가 제일 중요하게 본다고 몇 번 말씀드렸었거든요.
분석을 좀 잘 해보셔야 되지 않을까요?
동에 동장님으로 계셨으니까 봉덕2동하고는 좀 많이 다르죠.
봉덕2동은 앞산과 신천이라는 특수 케이스를 가지고 이야기를 하잖아요.
여기는 완전 다르게 여기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관계에 대해서 말씀을 많이 하셔야 될 것 같은데요.
고민을 좀 해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대명2동장 김윤규 예, 알겠습니다.
○이정현 위원 대명2동 축제 그대로 진행하시잖아요.
○대명2동장 김윤규 예.
○이정현 위원 증액이라든가 이런 요구는 없는 상황입니까?
○대명2동장 김윤규 현재는 없습니다.
○대명2동장 김윤규 예, 현재까지 나온 건 없습니다.
○이정현 위원 제가 듣기로는 대명2동은 같이 하는 거 좀 반대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대명2동장 김윤규 그렇게 생각하시는 주민들도 있고 같이 해서 시너지 효과 누려서 괜찮다는 분도 있고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이정현 위원 그 다양한 의견을 말씀해 주셔야죠.
그걸 하자는 게 지금 여기 업무계획 보고 아닐까요?
동장님 여기 가셔서 하셔야 될 일이 봉덕2동하고는 좀 많이 달라질 겁니다.
대명2동이 쉽지 않은데 워낙 다양한 계층이 있잖아요.
상인회도 있고.
그걸 하자는 게 지금 여기 업무계획 보고 아닐까요?
동장님 여기 가셔서 하셔야 될 일이 봉덕2동하고는 좀 많이 달라질 겁니다.
대명2동이 쉽지 않은데 워낙 다양한 계층이 있잖아요.
상인회도 있고.
○대명2동장 김윤규 예.
○위원장 강병준 더 질의하실 위원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대명2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종결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명2동 행정복지센터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질의‧답변을 잘 들었습니다.
2025년 업무계획과 신규시책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동료위원 여러분!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좋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김윤규 대명2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돌아가셔도 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대명2동 소관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종결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명2동 행정복지센터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질의‧답변을 잘 들었습니다.
2025년 업무계획과 신규시책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동료위원 여러분!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좋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김윤규 대명2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돌아가셔도 되겠습니다.
(10시37분 회의중지)
(10시48분 계속개의)
○위원장 강병준 동료위원 여러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대명3동 소관 업무계획에 대한 보고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도미화 대명3동장께서는 발언대에서 2025년도 동 업무계획을 보고하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대명3동 소관 업무계획에 대한 보고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도미화 대명3동장께서는 발언대에서 2025년도 동 업무계획을 보고하시기 바랍니다.
○대명3동장 도미화 안녕하십니까? 대명3동장 도미화입니다.
평소 활기찬 의정 활동을 펼치시고 주민과 소통하고 공감하며 살기 좋은 남구를 만들기 위해 애쓰시는 강병준 행정자치위원장님, 이정현 부위원장님, 강민욱 위원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2025년 업무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보고에 앞서 함께 참석한 동료 직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직원 인사)
그럼 지금부터 대명3동 2025년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드릴 순서는 일반 현황,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 2025년 업무계획, 신규시책, 협업 과제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 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59쪽 일반 현황입니다.
우리 동 직원은 정원 12명에 현원 12명입니다.
인구 현황은 총 5,864세대에 9,514명이고 행정 조직은 당초 34개 통에 184개 반이 있으나 현재 뉴타운 주택 재개발 정비 사업으로 5개 통은 철거되어 29개 통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음 사회복지 현황을 보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생계급여 803세대, 의료급여 740세대, 주거급여 1,067세대, 교육급여 78세대로 인원은 3,348명입니다.
가정 위탁 아동은 3세대 3명이며 한부모 가족은 70세대 169명으로 모자 가정 56세대, 부자 가정 14세대입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997명으로 전체 인구의 31.5%를 차지하고 있어 우리 동은 초고령화 사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장애인 등록 인구는 812명이며 그중 지체장애인이 272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60쪽 각급 조직단체 현황으로는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하여 12개 단체가 구성 운영 중에 있습니다.
다음 261쪽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입니다.
우리 동은 뉴타운 주택 재개발 정비 사업으로 넓은 면적이 철거되면서 인구와 세대 수가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뉴타운 재개발로 정주 환경이 개선되고 2026년 4월 입주가 시작되면 인구 유입이 될 전망입니다.
대명 공연문화거리와 대명 공연예술센터를 중심으로 문화 접근성이 높은 편이며 도시철도와의 접근성이 높아 교통 편의성도 좋은 편입니다.
한편 고령 인구의 비율은 증가하여 2024년 말 기준 31%로 초고령화 사회에 해당되며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59%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청장년, 독거세대와 노인 세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맞춤형 복지 서비스가 요구되므로 민간 협력 네트워크 체계를 통해 위기 가구를 적극 발굴하여 복지 서비스 강화에 노력하겠습니다.
다음 263쪽에서 268쪽 2025년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주민들과 같이 소통하고 서로 화합하며 살기 좋은 마을이 되도록 적극적인 행정에 임하겠으며, 263쪽 전략 목표, 정책 목표, 주요 사업은 서면으로 대신하겠습니다.
265쪽부터 주요 사업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주민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주민자치센터 운영입니다.
1-1 주민에게 다가가는 주민자치위원회 운영을 위해 교육 및 워크숍을 통한 주민자치위원 역량 강화, 주민 욕구 청취 및 마을 발굴 사업을 위한 현장 주민자치위원회 운영, 각 조직단체 행사 시 주민자치위원 적극 참여 등 지역사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주민자치위원회 운영의 내실화를 기하겠으며, 1-2 주민 욕구 중심의 주민자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주민자치 프로그램 운영, 타 동 우수 프로그램 벤치마킹, 청사 시설 및 각종 행정적 지원 등 주민이 찾고 즐기며 만족하는 주민자치센터의 역할을 강화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66쪽 두 번째로 2. 맞춤형 민원 서비스로 주민 행복지수 Up입니다.
2-1 고객 중심의 행정 서비스 구현을 위해 원스톱 민원 창구 운영, 행정 정보 공동 이용 활성화, 남구 알리미를 통한 신속 정확한 민원 서비스 등 주민 편의 중심의 민원 서비스 제공 및 수시 CS 교육을 통한 직원 친절 마인드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2-2 편안하고 쉼이 있는 열린 민원실 조성을 위해 내방 민원인들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 및 다양한 행정 정보를 제공하고 편안하고 쾌적한 민원실 공간을 조성하여 주민이 잠시나마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267쪽 세 번째로 3. 이어가는 따뜻한 복지마을 만들기입니다.
3-1 고객 중심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민간 협력을 통한 위기 가구 적극 발굴 등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 강화, 위기 상황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생애 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 안내 및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2 주민 주도형 복지마을 조성 및 나눔 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명예 사회복지 공무원과 함께 위기 가구 발굴을 통한 라이온스, 종교 단체, 독지가 등과 연계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습니다.
또 나눔 분위기 확산을 위한 대명3동과 함께하는 3,000원의 행복 운영, 홈닥터 등 동 특화 사업 추진으로 적극적인 복지를 실천하여 생활이 어려운 주민의 복지 만족도를 높이겠습니다.
다음 268쪽 네 번째로 4. 함께 누리는 깨끗하고 안전한 마을 조성입니다.
4-1 쾌적한 사업, 자원순환 마을 조성을 위해 조직단체, 일자리 사업 인력을 활용한 깨끗한 마을 조성 및 우유, 폐건전지 등 재활용 가능한 자원 수거 보상과 쓰레기 분리배출 요령 적극 홍보로 자원 절약과 환경 오염을 줄이겠습니다.
4-2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든든한 우리 마을 조성을 위해 재해 위험 구역 상시 순찰, 자율방재단, 지구대 등 유관 단체와의 협조 체계 구축, 재난 대비 국민 행동 요령 홍보 등을 통해 각종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신규시책 사업과 협업 과제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71쪽입니다.
감성이 넘치는 힐링 민원실 운영입니다.
음악이 주는 감정적 순기능을 활용하여 부드럽고 편안한 민원실 분위기 조성으로 민원 만족도를 제고하고자 합니다.
기 보유 중인 태블릿 PC에 음원 스트리밍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클래식 위주의 음원으로 방문객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여 민원 처리 만족도와 직원들의 업무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업무 효율성 향상을 시킬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예산은 85만원 정도로 음원 서비스 이용권과 스피커 구입비입니다.
다음은 272쪽 우리 동네 무더위 쉼터 한여름 밤의 초대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한여름 무더위 기간인 8월 중에 관내 무더위 쉼터에서 무더위에 취약한 어르신들을 모시고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마당과 주민자치 프로그램 및 대명 공연거리 공연팀의 재능 기부 등 흥겨운 공연을 제공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지역 어르신들의 소외감 해소 및 화합의 장 마련을 통한 건강한 여름 나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합니다.
비예산이며 대명3동에 있는 앞산 마을 방송국과 함께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275쪽 협업 과제 사랑의 토닥토닥 약손 안마 서비스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관내 시각장애인 안마사 협회와 협업하여 주민에게 안마 체험으로 스트레스 해소 기회 제공 및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연스러운 소통으로 장애 인식 개선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4월에서 11월 중 월 1회 정도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추진할 예정이며 주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당초 예산 90만원을 계상하여 자원봉사자 실비 지급코자 하였으나 협업 파트너인 대한안마사협회 대구지부의 요청에 따라 자원봉사 점수 지급으로 대체하여 지 진행코자 합니다.
다음 277쪽에서 288쪽 2024년 주요 업무 실적을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279쪽에서 280쪽입니다.
1. 소통 협력을 통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입니다.
주민자치 활성화를 위한 든든한 집밥 메뉴로 희망 배달 사업을 통해 저소득 25세대에 월 1회 반찬 나눔을 6회 실시하였고, 마을 사업 발굴을 위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였으며,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은 건강 증진실, 탁구장, 인터넷 방은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며 태극권 외 1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281에서 282쪽 2. 고객 맞춤 서비스로 명품 민원 행정 실현과 282쪽에서 284쪽 3. 주민에게 한 발짝 더 다가가는 복지행정 실현은 각종 행정 서비스 및 복지 민원 신청 처리 현황으로 자료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85쪽입니다.
대명3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동 특화 사업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요구르트는 사랑을 싣고 1인 가구 안부 사업을 자부담 120만원으로 1년간 8가구에 지원하였고, 거동 불편 어르신 위생용품 지원 사업을 구비 100만원으로 20가구에 지원, 저소득 주거 취약 계층을 위한 홈닥터 사업을 재능 기부로 21가구의 지원, 희망 가(家)득 클린 사업을 자원봉사로 2가구에 지원하였습니다.
그리고 대명3동과 함께하는 3,000원의 행복 모금 사업을 통한 대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 사업으로 894만원의 사업비로 찾아가는 생신상 10가구, 사랑의 실버카 10가구, 시원한 여름 나기 100가구, 따뜻한 겨울나기 55가구 지원하였습니다.
286쪽 깨끗하고 안전한 안심마을 조성, 287쪽에서 288쪽 2024 특수시책 및 협업 과제 추진 실적은 자료를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명3동 전 직원은 합심 노력하여 금년도에 계획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대명3동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평소 활기찬 의정 활동을 펼치시고 주민과 소통하고 공감하며 살기 좋은 남구를 만들기 위해 애쓰시는 강병준 행정자치위원장님, 이정현 부위원장님, 강민욱 위원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2025년 업무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보고에 앞서 함께 참석한 동료 직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직원 인사)
그럼 지금부터 대명3동 2025년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드릴 순서는 일반 현황,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 2025년 업무계획, 신규시책, 협업 과제 2024년 주요 업무 추진 실적 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59쪽 일반 현황입니다.
우리 동 직원은 정원 12명에 현원 12명입니다.
인구 현황은 총 5,864세대에 9,514명이고 행정 조직은 당초 34개 통에 184개 반이 있으나 현재 뉴타운 주택 재개발 정비 사업으로 5개 통은 철거되어 29개 통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음 사회복지 현황을 보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생계급여 803세대, 의료급여 740세대, 주거급여 1,067세대, 교육급여 78세대로 인원은 3,348명입니다.
가정 위탁 아동은 3세대 3명이며 한부모 가족은 70세대 169명으로 모자 가정 56세대, 부자 가정 14세대입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997명으로 전체 인구의 31.5%를 차지하고 있어 우리 동은 초고령화 사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장애인 등록 인구는 812명이며 그중 지체장애인이 272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60쪽 각급 조직단체 현황으로는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하여 12개 단체가 구성 운영 중에 있습니다.
다음 261쪽 행정 환경 분석 및 전망입니다.
우리 동은 뉴타운 주택 재개발 정비 사업으로 넓은 면적이 철거되면서 인구와 세대 수가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뉴타운 재개발로 정주 환경이 개선되고 2026년 4월 입주가 시작되면 인구 유입이 될 전망입니다.
대명 공연문화거리와 대명 공연예술센터를 중심으로 문화 접근성이 높은 편이며 도시철도와의 접근성이 높아 교통 편의성도 좋은 편입니다.
한편 고령 인구의 비율은 증가하여 2024년 말 기준 31%로 초고령화 사회에 해당되며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59%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청장년, 독거세대와 노인 세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맞춤형 복지 서비스가 요구되므로 민간 협력 네트워크 체계를 통해 위기 가구를 적극 발굴하여 복지 서비스 강화에 노력하겠습니다.
다음 263쪽에서 268쪽 2025년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주민들과 같이 소통하고 서로 화합하며 살기 좋은 마을이 되도록 적극적인 행정에 임하겠으며, 263쪽 전략 목표, 정책 목표, 주요 사업은 서면으로 대신하겠습니다.
265쪽부터 주요 사업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주민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주민자치센터 운영입니다.
1-1 주민에게 다가가는 주민자치위원회 운영을 위해 교육 및 워크숍을 통한 주민자치위원 역량 강화, 주민 욕구 청취 및 마을 발굴 사업을 위한 현장 주민자치위원회 운영, 각 조직단체 행사 시 주민자치위원 적극 참여 등 지역사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주민자치위원회 운영의 내실화를 기하겠으며, 1-2 주민 욕구 중심의 주민자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주민자치 프로그램 운영, 타 동 우수 프로그램 벤치마킹, 청사 시설 및 각종 행정적 지원 등 주민이 찾고 즐기며 만족하는 주민자치센터의 역할을 강화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66쪽 두 번째로 2. 맞춤형 민원 서비스로 주민 행복지수 Up입니다.
2-1 고객 중심의 행정 서비스 구현을 위해 원스톱 민원 창구 운영, 행정 정보 공동 이용 활성화, 남구 알리미를 통한 신속 정확한 민원 서비스 등 주민 편의 중심의 민원 서비스 제공 및 수시 CS 교육을 통한 직원 친절 마인드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2-2 편안하고 쉼이 있는 열린 민원실 조성을 위해 내방 민원인들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 및 다양한 행정 정보를 제공하고 편안하고 쾌적한 민원실 공간을 조성하여 주민이 잠시나마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267쪽 세 번째로 3. 이어가는 따뜻한 복지마을 만들기입니다.
3-1 고객 중심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민간 협력을 통한 위기 가구 적극 발굴 등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 강화, 위기 상황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생애 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 안내 및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2 주민 주도형 복지마을 조성 및 나눔 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명예 사회복지 공무원과 함께 위기 가구 발굴을 통한 라이온스, 종교 단체, 독지가 등과 연계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습니다.
또 나눔 분위기 확산을 위한 대명3동과 함께하는 3,000원의 행복 운영, 홈닥터 등 동 특화 사업 추진으로 적극적인 복지를 실천하여 생활이 어려운 주민의 복지 만족도를 높이겠습니다.
다음 268쪽 네 번째로 4. 함께 누리는 깨끗하고 안전한 마을 조성입니다.
4-1 쾌적한 사업, 자원순환 마을 조성을 위해 조직단체, 일자리 사업 인력을 활용한 깨끗한 마을 조성 및 우유, 폐건전지 등 재활용 가능한 자원 수거 보상과 쓰레기 분리배출 요령 적극 홍보로 자원 절약과 환경 오염을 줄이겠습니다.
4-2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든든한 우리 마을 조성을 위해 재해 위험 구역 상시 순찰, 자율방재단, 지구대 등 유관 단체와의 협조 체계 구축, 재난 대비 국민 행동 요령 홍보 등을 통해 각종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신규시책 사업과 협업 과제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71쪽입니다.
감성이 넘치는 힐링 민원실 운영입니다.
음악이 주는 감정적 순기능을 활용하여 부드럽고 편안한 민원실 분위기 조성으로 민원 만족도를 제고하고자 합니다.
기 보유 중인 태블릿 PC에 음원 스트리밍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클래식 위주의 음원으로 방문객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여 민원 처리 만족도와 직원들의 업무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업무 효율성 향상을 시킬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예산은 85만원 정도로 음원 서비스 이용권과 스피커 구입비입니다.
다음은 272쪽 우리 동네 무더위 쉼터 한여름 밤의 초대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한여름 무더위 기간인 8월 중에 관내 무더위 쉼터에서 무더위에 취약한 어르신들을 모시고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마당과 주민자치 프로그램 및 대명 공연거리 공연팀의 재능 기부 등 흥겨운 공연을 제공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지역 어르신들의 소외감 해소 및 화합의 장 마련을 통한 건강한 여름 나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합니다.
비예산이며 대명3동에 있는 앞산 마을 방송국과 함께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275쪽 협업 과제 사랑의 토닥토닥 약손 안마 서비스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관내 시각장애인 안마사 협회와 협업하여 주민에게 안마 체험으로 스트레스 해소 기회 제공 및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연스러운 소통으로 장애 인식 개선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4월에서 11월 중 월 1회 정도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추진할 예정이며 주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당초 예산 90만원을 계상하여 자원봉사자 실비 지급코자 하였으나 협업 파트너인 대한안마사협회 대구지부의 요청에 따라 자원봉사 점수 지급으로 대체하여 지 진행코자 합니다.
다음 277쪽에서 288쪽 2024년 주요 업무 실적을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279쪽에서 280쪽입니다.
1. 소통 협력을 통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입니다.
주민자치 활성화를 위한 든든한 집밥 메뉴로 희망 배달 사업을 통해 저소득 25세대에 월 1회 반찬 나눔을 6회 실시하였고, 마을 사업 발굴을 위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였으며,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은 건강 증진실, 탁구장, 인터넷 방은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며 태극권 외 1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281에서 282쪽 2. 고객 맞춤 서비스로 명품 민원 행정 실현과 282쪽에서 284쪽 3. 주민에게 한 발짝 더 다가가는 복지행정 실현은 각종 행정 서비스 및 복지 민원 신청 처리 현황으로 자료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85쪽입니다.
대명3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동 특화 사업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요구르트는 사랑을 싣고 1인 가구 안부 사업을 자부담 120만원으로 1년간 8가구에 지원하였고, 거동 불편 어르신 위생용품 지원 사업을 구비 100만원으로 20가구에 지원, 저소득 주거 취약 계층을 위한 홈닥터 사업을 재능 기부로 21가구의 지원, 희망 가(家)득 클린 사업을 자원봉사로 2가구에 지원하였습니다.
그리고 대명3동과 함께하는 3,000원의 행복 모금 사업을 통한 대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 사업으로 894만원의 사업비로 찾아가는 생신상 10가구, 사랑의 실버카 10가구, 시원한 여름 나기 100가구, 따뜻한 겨울나기 55가구 지원하였습니다.
286쪽 깨끗하고 안전한 안심마을 조성, 287쪽에서 288쪽 2024 특수시책 및 협업 과제 추진 실적은 자료를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명3동 전 직원은 합심 노력하여 금년도에 계획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대명3동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도 동 업무계획 별책)
○위원장 강병준 대명3동장께서는 수고하셨습니다.
자리에 앉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대명3동 소관 2025년도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3동장께서는 앉은 좌석에서 동료 위원의 질의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정현 위원님 먼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리에 앉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대명3동 소관 2025년도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3동장께서는 앉은 좌석에서 동료 위원의 질의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정현 위원님 먼저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저번에 말씀하신 대로 알아보고 하기로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좀 좋은 걸로 구입해서…….
○이정현 위원 그것보다 설치 자체를 하실 수 있는 데가 와야 될 건데.
○대명3동장 도미화 설치 자체를요?
그것도 좀 알아봐야 되겠네요.
그것도 좀 알아봐야 되겠네요.
○이정현 위원 상단에 설치할지, 어디에 설치할지 뭐 이런 거 업체와 같이…….
○대명3동장 도미화 일단 저희 계획으로는 스탠드 설치대 같은 걸 하나 하고 그 위에다가 할 생각이긴 한데 그것도 알아보고 잘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명3동장 도미화 2,023세대입니다.
○대명3동장 도미화 많이 올라갔어요.
한 10층 넘게 올라간 것 같습니다.
한 10층 넘게 올라간 것 같습니다.
○이정현 위원 그럼 내년인가요?
○대명3동장 도미화 2026년 4월, 내년 4월 입주 예정입니다.
○이정현 위원 여기가 세대가 한…….
○대명3동장 도미화 2,023세대라서 전에는 사실 분양이 많이 안 되어서 걱정이었는데 조합장이 바뀌고 나서 어떤 프로모션 이런 걸 통해서, 제가 듣기로는 200가구 정도 남고 다 분양이 됐다고 그렇게 들었습니다.
○이정현 위원 지금 가구 수로 여기 몇 가구 있죠?
○대명3동장 도미화 우리 대명3동이요?
5,864세대.
5,864세대.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인구 수가 좀, 한 2인 가구라 해도 많이 늘 수 있는…….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초고령화 사회.
○이정현 위원 초고령화 사회라고 들어왔는데 언어는 정확하게 짚고 가야 되지 않겠나 싶어서요.
초고령화 사회라고 쓴 동이 3개 동이 있거든요.
대명3동도 그렇게 썼고, 심지어 다른 분들은 초고령화 사회라고 이야기는 안 하고 그냥 고령화율 정도로만 이야기하셨는데, 동장님은 아예 초고령화 사회라고 말씀을 하셔서요.
단어 정확하게 쓰셔야 될 것 같네요.
초고령화 사회라고 쓴 동이 3개 동이 있거든요.
대명3동도 그렇게 썼고, 심지어 다른 분들은 초고령화 사회라고 이야기는 안 하고 그냥 고령화율 정도로만 이야기하셨는데, 동장님은 아예 초고령화 사회라고 말씀을 하셔서요.
단어 정확하게 쓰셔야 될 것 같네요.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알겠습니다.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용어를 잘 찾아보겠습니다.
○이정현 위원 3개 동 이거 쓰신 분이, 뭐 이거 용어 아무것도 아닌 거지만 우리 구에서는 이거 정확하게 좀 구분해서 이야기해야 되지 않을까요?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알겠습니다.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이정현 위원 그런데 이거 우리 대명3동만 하고 있는 겁니까?
○대명3동장 도미화 일단 이게 저희가 특수시책으로 하는 거라서요.
또 저희 관내에 이게 있어요.
그래서 저희가 접근하기도 쉽고 평소에 관계도 있고 이러니까.
또 저희 관내에 이게 있어요.
그래서 저희가 접근하기도 쉽고 평소에 관계도 있고 이러니까.
○이정현 위원 아, 관내에 있으니까.
○대명3동장 도미화 예, 관내에 있습니다.
저희 관내에 사무실이 있다 보니까 이렇게 같이 해보자고.
저희 관내에 사무실이 있다 보니까 이렇게 같이 해보자고.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이정현 위원 예산은 특별히 이야기 없으셨나요?
○대명3동장 도미화 예산은 그때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할 때 시의 방침이 축제는 안 되고 저희가 할 수 있는 게 한 1,000만원 정도로 음악회 할 수 있다고 하니까 그렇게 하자고 의견이 모여서 그냥 음악회 쪽으로 하는 걸로 1,000만원 정도 예산을 올려서 했습니다.
○위원장 강병준 강민욱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대명3동장 도미화 워낙 고령 인구가 많다 보니까, 저희 동에 초등학교가 없어요.
그래서 저희 동 초등학생들이 달서구 학교에 2개 가고.
그래서 저희 동 초등학생들이 달서구 학교에 2개 가고.
○강민욱 위원 성남초등학교로 가죠.
○대명3동장 도미화 예, 성남초등학교도 가고, 남구에 대명5동, 2동, 중구 쪽 명덕초등학교도 가고 이렇거든요.
그래서 젊은 층 유입이 필요는 한데 학교가 없다 보니까 좀…….
그래서 젊은 층 유입이 필요는 한데 학교가 없다 보니까 좀…….
○강민욱 위원 동장님이 말씀하시는 그 젊은 층이라는 건 가정을 꾸리고 있는 가족 형태의 젊은 층이라는 이야기인 거죠?
○대명3동장 도미화 예.
○대명3동장 도미화 아무래도 아파트다 보니까, 사실 저희 동네에 계대나 이런 학교가 있어서 전세나 월세 이런 젊은 인구는 많아요.
그런데 좀 더 안정적인…….
그런데 좀 더 안정적인…….
○강민욱 위원 그러니까 가족 형태의…….
○대명3동장 도미화 예, 그런 걸 말하는 거 맞습니다.
○위원장 강병준 더 질의하실 위원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대명3동 소관 2025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종결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명3동 행정복지센터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질의‧답변을 잘 들었습니다.
2025년 업무계획과 신규시책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행정자치위원회 제6차 회의를 마치겠습니다.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해 끝까지 협조하여 주신 위원 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
산회 선포합니다.
제7차 회의는 목요일 오전 10시에 개회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대명3동 소관 2025년 동 업무계획 보고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종결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명3동 행정복지센터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질의‧답변을 잘 들었습니다.
2025년 업무계획과 신규시책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행정자치위원회 제6차 회의를 마치겠습니다.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해 끝까지 협조하여 주신 위원 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
산회 선포합니다.
제7차 회의는 목요일 오전 10시에 개회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11시09분 산회)